강릉 김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릉 김씨는 김알지의 후손인 김주원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신라 왕족 출신으로, 김주원은 선덕여왕 사후 왕위 계승에 실패하고 강릉으로 은거하여 명주군왕에 봉해졌다. 고려 시대에는 김예, 김순식 등이 고려 건국에 기여했으며, 김순식은 왕건으로부터 왕씨 성을 하사받기도 했다. 조선 시대에는 김시습과 같은 인물을 배출했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조사에서 179,593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청풍파, 안동파 등 다양한 분파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릉 김씨 - 김승호
김승호는 1946년 《자유만세》로 데뷔하여 250여 편의 영화에 출연하며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남우주연상,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대종상 남우주연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하고 영화 제작, 한국영화인협회 이사장을 역임한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릉 김씨 - 이상 (작가)
일제강점기 한국의 아방가르드 작가이자 건축기사였던 이상은 '오감도'와 '날개' 등 실험적인 작품으로 한국 문학사에 독보적인 자취를 남겼으며, 초현실주의 기법과 수학·건축적 요소를 결합하여 현대인의 소외와 내면세계를 탐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강릉 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국가 | 한국 |
지역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시조 | 김주원 |
원시조 | 김알지 |
웹사이트 | 강릉김씨 대종회 |
인구 통계 | |
년도 | 2015년 |
인구 | 179,593명 |
주요 인물 | |
인물 | 김헌창 김범문 김인존 김사혁 김시습 김상규 김상철 김화진 김노진 김동환 김금래 |
집성촌 | |
집성촌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경기도 양주시 경기도 김포시 경기도 용인시 충청남도 당진시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낭산면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황해도 장단군 황해도 안악군 함경북도 부령군 평안북도 철산군 |
2. 역사
김주원은 신라 왕족으로 혜공왕의 친척이자 왕위 계승자였다. 하지만 경주에 거주하지 않았기 때문에, 선덕왕이 죽은 후 왕으로 추대되기 위해서는 알천(현 북천 (경주시)|북천한국어)을 건너야 했다. 그러나 폭우로 인해 강물이 범람하여 강을 건너지 못하고 수도로 가지 못했다. 대신 경주의 귀족들은 김경신을 새로운 왕으로 선택했다. 김주원은 명주군왕으로 봉해지는 것으로 보상받았다.[1]
진골 신분이었던 김주원의 아들 김헌창은 822년 웅주를 기반으로 장안국을 세우고 신라 정부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자살했다. 그의 친족 239명이 처형되었고,[2][3] 아들 김범문 또한 3년 후 한산에서 반란을 일으켰지만 실패했다.[4]
김순식은 고려 건국 초 명주장군으로 끝까지 항거하다 왕건에게 설득되어 후백제 정벌에 공을 세우고 대광(大匡)에 올랐으며 왕씨 성을 하사받았다. 그러나 조선 개국 후 왕씨가 탄압을 받자 김씨로 환원하였다.
강릉 김씨는 왕건의 핵심적인 지지자였으며, 김예와 김순식 등이 고려 건국에 기여했다.[7] 고려 초(981년~1146년) 강릉 김씨는 9명의 정부 관리를 배출했으며, 이 중 5명은 고위 관료였다. 이 시기 강릉 김씨는 다섯 번째로 많은 관리를 배출한 씨족이었다.[8]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강릉 김씨는 179,593명이었다.[9]
2. 1. 시조 및 초기 역사
김주원(金周元)은 김알지의 21세손으로, 고려 시중 겸 병부령(兵部令)을 지냈다. 아버지는 각간을 지낸 김유정(金惟靖)이다. 족보상으로는 태종무열왕의 셋째 아들인 김문왕(金文王)의 5세손이라고 한다. 그러나 사료상으로는 김문왕의 형이자 문무왕의 동생인 김인문의 후손이라는 기록도 있다. 785년(선덕여왕 6) 선덕왕이 후사가 없이 죽자 군신회의에서 그를 왕으로 추대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경주의 알천 북쪽에 살던 곳에 갑자기 큰 비가 내려 알천을 건널 수가 없어 입궐을 못하게 되자 이는 하늘의 뜻이라 하여 즉위를 포기하였다. 이에 원성왕이 즉위하니 그가 내물왕의 12대손 김경신이다.[1] 그 후 원성왕은 그에게 왕위에 오를 것을 권유했으나 끝내 사양하고 강릉으로 은거하자 원성왕은 그의 겸손함에 감복하여 명주군왕(溟州郡王)으로 봉했다.[1] 그리하여 후손들은 강릉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김주원의 아들 김헌창(金憲昌)은 헌덕왕 때 웅주에서 난을 일으켜 국호를 ‘장안(長安)’이라 하고, 한때 4주 3소경을 점령했으나 한 달 만에 관군에게 패하여 웅주에서 자살하였다.[2] 그의 친족 239명이 처형되었다.[3] 그의 아들 김범문 또한 3년 후 서울 근처의 한산에서 신라에 반란을 일으켰지만, 그 또한 실패했다.[4]
김순식(金順式)은 고려 건국 초 명주(溟州)장군으로 끝까지 항거하다 왕건에게 설득을 받고 협력하여 후백제 정벌에 공을 세웠다. 그 후 대광(大匡)에 오르고 왕씨 성을 하사 받았다. 그러나 조선 개국 후 왕씨가 탄압을 받자 원래 성인 김씨로 환원하였다.
씨족의 다수는 강릉에 남기로 선택한 김주원의 셋째 아들 김신 (김신|金身한국어)의 후손이다.[5] 강릉에 여전히 거주하는 강릉 김씨는 그들의 진골 신분을 이용하여 강릉의 지역 영주 또는 호족이 되었다.[6] 그들은 왕건의 핵심적인 지지자였으며, 김예와 김순식과 같은 인물들이 고려 건국에 기여했다.[7] 이에 감사한 왕건은 강릉 김씨의 한 분파에게 자신의 성인 왕씨를 하사하여, 이들은 강릉 왕씨로 알려지게 되었다.[7]
2. 2. 고려시대
김주원은 김알지의 21세손으로, 시중 겸 병부령을 지냈다. 그의 아버지는 각간 김유정이다. 족보상으로는 태종무열왕의 셋째 아들 김문왕의 5세손이라고 하지만, 사료상으로는 김문왕의 형이자 문무왕의 동생인 김인문의 후손이라는 기록도 있다.[1] 785년(선덕여왕 6) 선덕왕이 후사 없이 죽자 군신회의에서 왕으로 추대되었으나, 경주 알천(현 북천 (경주시)|한국어) 북쪽에 살던 곳에 갑자기 큰 비가 내려 알천을 건널 수 없어 즉위하지 못했다. 이에 원성왕이 즉위했고, 원성왕은 김주원에게 왕위를 권유했으나 사양하고 강릉으로 은거하자 명주군왕으로 봉했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강릉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김주원의 아들 김헌창은 헌덕왕 때 웅주(熊州)에서 난을 일으켜 국호를 ‘장안(長安)’이라 하고, 한때 4주 3소경을 점령했으나 한 달 만에 관군에게 패하여 웅주에서 자살하였다.[2]
김순식은 고려 건국 초 명주(溟州)장군으로 끝까지 항거하다 왕건에게 설득을 받고 협력하여 후백제 정벌에 공을 세웠다. 그 후 대광(大匡)에 오르고 왕씨 성을 하사 받았다. 그러나 조선 개국 후 왕씨가 탄압을 받자 원래 성인 김씨로 환원하였다.[7]
고려시대 강릉 김씨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생몰년 | 주요 경력 | 시호 |
---|---|---|---|
김상기(金上琦) | 1031년 ~ ? | 문종조 좌우보궐, 선종조 호부상서정당문학, 권판동북면병마사 겸 행영병마사, 숙종조 이부상서 참지정사 판상서호부사 수국사, 수사도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감수국사, 수태부 | 문정(文貞) |
김인존(金仁存) | ? ∼ 1127년 | 김상기의 아들, 선종·헌종·숙종조 내시직, 상서예부 원외랑, 개성부사, 기거사인 지제고, 기거랑, 병부원외랑, 이부낭중 겸 동궁시강학사, 중서사인, 예종조 예부시랑 간의대부, 비서감, 수사도 중서시랑평장사 상주국 | |
김영석(金永錫) | 1079년 ∼ 1167년 | 김인존의 아들, 예종조 음보 양온서승동정, 인종조 합문지후·전중내급사, 의종조 수문전학사, 삼사사, 정당문학, 중서시랑평장사, 상서좌복야·판공부사 | |
김사혁(金斯革) | ? ~ 1385년 | 고려 말기 무신, 양광도상원수, 지문하부사 |
2. 3. 조선시대
김시습(金時習, 1435년 ~ 1493년)은 조선시대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시호는 청간(淸簡)이다.[5]김첨경(金添慶, 1525년 ~ 1583년)은 1549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선조 때 예조판서에 이르렀다. 시호는 숙간(肅簡)이다.
김상성(金尙星, 1703년 ~ 1755년)은 1723년(경종 3) 정시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1755년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김상철(金尙喆, 1712년 ~ 1791년)은 1736년(영조)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정조 때 영의정에 올랐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김상집(金尙集, 1723년 ~ ?)은 1755년(영조 31)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판서와 우참찬에 이르렀다.
2. 4. 현대
- 김주남(1931년 ~ 2009년) : 제15대 건설부 장관을 역임했다.
- 김윤기(1942년 ~ ) : 제6대 건설교통부 장관을 역임했다.
- 김준기(1944년 ~ ) : 동부그룹 회장을 역임했다.
- 김진선(1946년 ~ ) : 제32·33·34대 강원도지사를 역임했다.
- 김택기(1950년 ~ ) : 동부화재 사장, 제16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김금래(1952년 ~ ) : 제2대 여성가족부 장관을 역임했다.
- 김문기(1932년 ~ 2021년) : 정치인.[1]
- 아나톨리 김(1939년 ~ ) : 러시아-한국 작가.[10]
- 김남일(1977년 ~ ) : 축구 선수.[5]
- 김래원(1981년 ~ ) : 배우.[5]
- RM(본명: 김남준, 1994년 ~ ) : 음악가, 보이 그룹 방탄소년단의 멤버.[11]
3. 분파
분파 |
---|
청풍파, 안동파, 부정공파, 옥가파, 습독공파, 임경공파, 강릉노암공파, 유천파, 양양공파, 한림공파 |
강릉모안파, 강릉옥가파, 강릉옥계파, 풍덕파, 강릉송림파, 강릉호명파 |
초당파, 학포파, 강릉가평파, 조항파, 신당파, 모전파, 금강덕원파, 원산파 |
삼척파, 횡성파, 만호공파, 지산군파, 공청간파, 상주파, 송오공파, 모암공파 |
회와공파, 문의파, 목천복귀형파, 파주능동파, 백동파, 제주공파, 명주공파 |
강릉선연파, 찬성공파, 월봉공파, 삼괴당공파, 장보공파, 여산파, 평의공파 |
철산현감공파, 감무공파, 동원군파 |
4. 항렬자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53세 | 54세 | 55세 | 56세 | 57세 | 58세 | 59세 | 60세 | |||
---|---|---|---|---|---|---|---|---|---|---|---|---|---|---|---|---|---|---|---|---|---|---|---|---|---|---|---|---|---|---|
학(學) | 병(秉) | 연(演) | 口경(卿) | 진(振) | 口기(起) | 남(南) | 口래(來) | 동(東) | 口유(猷) | 성(成) | 口현(玄) | 만(萬) | 口구(九) | 명(命) | 口영(寧) | 무(茂) | 口기(紀) | 유(庾) | 재(宰) | 성(聖) | 규(揆) | 하(夏) | 원(元) | 두(斗) | 택(澤) | 오(吾) | 장(章) |
5. 인구
연도 | 가구 | 인구 |
---|---|---|
1985년 | 35,816가구 | 150,577명 |
2000년 | 52,050가구 | 165,963명 |
2015년 | 179,593명 |
참조
[1]
웹사이트
(53)강릉 김씨
https://www.joongang[...]
1983-02-19
[2]
논문
The Koryô origins of the Chosôn dynasty: Kings, aristocrats, and Confucianism
https://www.proquest[...]
University of Washington
1988
[3]
간행물
Sources of Cohesion and Fragmentation in the Silla Kingdom
https://muse.jhu.edu[...]
1969
[4]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for the Harvard-Yenching institute
1984
[5]
웹사이트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후 김해김씨, 사성 김해김씨, 강릉김씨"
https://www.segye.co[...]
2011-08-17
[6]
서적
The origins of the Chosŏn dynasty
Univ. of Washington Press
2000
[7]
서적
The origins of the Chosŏn dynasty
Univ. of Washington Press
2000
[8]
서적
The origins of the Chosŏn dynasty
Univ. of Washington Press
2000
[9]
웹사이트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 보도자료
https://kostat.go.kr[...]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4-04-02
[10]
웹사이트
Russian-Korean writer gets film nod
https://koreajoongan[...]
2013-07-25
[11]
웹사이트
"[WHY] Are all Kims related?"
https://koreajoongan[...]
2024-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